소음성 난청은 커다란 소리자극에 의해 생긴 청력의 이상을 의미합니다. 총성이나 폭발음과 같은 소리를 들었을 때 혹은 매우 크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의 충분한 강도의 소음에 일정기간 노출되면 나타날 수 질병으로, 후자의 경우는 주로 작업장에서 발생하므로 작업장 소음에 의한 소음성 난청을 의미하는 직업성 난청으로 구별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근래에 길거리나 지하철 등에서 비록 크지 않은 소리라도 음악감상을 오래 하게되면 역시 소음성 난청에 노출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흔히 이어폰을 자주 사용하는 젊은 층에서 '가는 귀가 먹었다' 또는 '귀에서 소리가 난다'거나 이명 등의 소음성 난청의 전조증상을 호소하게 되어 주의를 요한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소음에 노출된 후, 휴식기간을 가지면 청력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가역성 청력 손실을 일시적 청력 손실이라고 부르며, 영구적 감각신경성 청력 손실을 소음성 난청이라고 부르는데, 큰 소리에 노출된 후 멍멍했던 귀가 수일 안에 회복되지 않는다면 감각신경의 손상을 의심할 수 있으므로 즉시 병의원을 찾아야 한다고 전문의들은 지적합니다.
소음성 난청을 방치하면 비록 경도의 난청이라고 하더라도 의사소통 능력에 주요한 영향을 끼쳐 상대방의 말을 알아듣고 이해하는데 더 많은 주의와 노력이 필요하게 되고, 결국 피로, 불안, 스트레스를 야기시키게 되며, 환우는 이런 상황을 피하려고 하다 주변 친구들이나 가족들에게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노인 환우의 경우에는 우울증이나 치매, 인지능력장애와도 관계될 수 있다고 알려집니다.
게다가 동일한 소음을 듣고 어떤 사람은 소음성 난청에 시달리고 어떤 사람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데, 이는 소음성 청력장애에 대한 선천적인 감수성이 개인차가 심하기 때문이며, 자신의 청각에 이상이 느껴지만 다른 사람과 비교하지 말고 전문의를 찾아 진료를 받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소리의 크기를 측정하는 단위는 데시벨(decibel, dB)을 사용하며 데시벨은 상용로그의 식으로 나타내어 10배의 소리강도의 증가는 데시벨 값이 2배로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사람의 감각기관이 외부로부터 자극이 10배가 증가하여야 이전보다 2배로 강도가 세어졌다고 인식하는 하기 때문입니다. 통상 75dB 이하의 소리는 난청을 유발하지 않는다는 것이 정설로 여겨지고, 85dB 이상의 소리는 청력에 해로운 것으로 이보다 강도가 높아질수록 난청의 정도는 점점 심해진다는 것입니다.
현재의 보고에 의하면 매일 8시간씩 85dB의 소음에 노출되는 것은 충분히 청력손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140dB 이하의 소리들은 그 종류와 상관없이 같은 정도의 난청을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집니다. 그러므로 생활속에서 접하는 매우 시끄러운 소리는 어떤 식으로든 소음성 난청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근래에 휴대용 기기에서 이어폰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최대 볼륨에서 100dB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1985년 미국에서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3시간가량 카세트테이프의 음악을 헤드폰으로 들려주었을 때 반수 이상에서 일시적인 청력감퇴를 가져왔으며 그 중 한 명은 약 30dB 정도의 청력의 감퇴를 보였다고 전해집니다.
일시적인 청력감퇴의 경우 모두 24시간 내에 청력이 회복되었지만 이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영구적인 청력감퇴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논리가 됩니다. 의학적으로 일시적으로 소리가 잘 안 들리는 일시적 청력감퇴가(Temporary threshold shift) 나타나지만 24시간 내에 회복되며 그러나 이것이 반복되면 결국 청각세포의 손상을 가져와 영구적 청력장해(permanent threshold shift) 즉, 소음성 난청이 된다는 것입니다.
소리가 85dB 이상이 되는 장소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내이의 손상을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난청의 정도는 소음에 노출된 시간, 소음의 강도나 주파수와 관계가 있다고 알려집니다. 즉 소음성 난청은 보통 4KHz 주위에서 시작되어 점차 진행되어 주변 주파수로 파급되므로 처음에는 자각적인 증상을 가지지 않으나 3KHz 또는 2KHz로 청력손실이 파급되면 불편을 호소하기 시작하며, 이명(귀울림) 증상도 나타날 수 있으며 수일 간 지속되기도 한다고 전해집니다.
소음성 난청은 청각 이상이나 이명 등의 현상 이외에도 두통, 불안, 긴장 등의 정신신경계 증세와 호흡이 가빠지고 맥박이 빨라지는 등의 순환기 증세 및 소화불량과 같은 소화기 증세나 고혈압을 초래할 수 있다고 알려집니다. 그러므로 작업장에서 35dB 이하로 소음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며 소음에 노출되는 시간을 규정하여 이외의 시간에는 소음을 피하는 작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청력소실은 보통 여러 해에 걸쳐 서서히 일어나 인지하지 못할 수도 있으며 오랜 기간동안의 청각신경의 손상으로 이명으로 나타날 수도 있고 타인의 말을 알아듣기가 힘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특히 시끄러운 환경에서 웅얼거리는 것처럼 들릴 수도 있는데 이는 고주파 음역에서의 청력소실의 시작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첫째는 작업장에서 혹은 이어폰 사용 시간의 제한으로 큰 소음이나 지속적인 소음에 노출을 피하는 것이 우선이며, 둘째는 일시적 청력감퇴가 의심되면 즉시 병의원을 찾아 치료를 받아야 하는데 이는 청각세포의 손상을 조기에 발견할수록 치료가 쉽고 예후가 좋기 때문입니다.
'신체질환 > 이비인후과질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새로운 소음성 난청치료 물질? (0) | 2014.07.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