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contents

자연과 삶 (Nature & Life) :: 자궁경부암 백신의 오해와 진실

 

 

통상 자궁경부암은 여성에게 발생하는 암 중 세 번째로 흔한 여성암으로 전세계적으로 평균 2분당 한 명의 여성이 자궁경부암으로사망한다고 알려집니다. 자궁경부암의 주된 원인은 인유두종바이러스(HPV)로 평생 동안 모든 여성의 약 80%까지 감염될 위험이 있으며 대부분은 면역체계에 의해 소멸되나 그렇지 않은 발암성 HPV에 지속적으로 감염될 경우에는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될 수 있다고 알려집니다. 또한 성인 여성에서 발암성 HPV의 지속감염율은 약 50%까지 보고되고 있다고 전해집니다.

 

자궁경부암은 사전에 발암성 HPV 감염 예방이 필요한데 자궁경부암 백신을 접종하면 HPV 감염이 없던 여성들에서 HPV 지속감염이나 이로 인한 상피내병변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자궁경부 이상 발견시 실시하게 되는 확대경 검사나 원추절제술 같은 처치를 약 70% 줄여줄 수 있다고 알려집니다.

 

다음의 최근 보도에 의한 자궁경부암 백신의 오해와 진실입니다.

 

 


1) 정기검진 하면 백신접종할 필요없다? (X)

정기검진으로는 자궁경부암 전단계에 조기발견을 할 수 있지만 발암성 HPV 감염을 막을 수는 없기 때문이며 게다가 현대 의료기술적으로 검사를 통해 자궁경부암을 100% 발견해 낼 수 있다고 장담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자궁경부암 전 단계인 이형성증 단계나 상피내암 단계의 경우 검진으로 발견되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특히 젊은 여성에서 비교적 흔한 선암의 경우에는 세포검사로 발견하기 힘들고, 암으로 진행되는 시간도 편평세포암에 비해 짧기 때문에 선암 예방을 위해서는 백신 접종이 더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자궁경부암 예방을 위해서는 정기검진뿐만 아니라 백신접종도 함께 병용하는 것입니다.

 

2) 백신접종 후 자궁경부암 예방효과는 100%? (△)

자궁경부암은 16, 18형에 의해 70%가 발생되는데 현재 사용되고 있는'서바릭스'(GSK)와 '가다실'(한국MSD) 모두 16, 18형에 대한 예방효과는 젊은 여성에서 거의 100%에 이른다. 따라서 이론적으로 백신접종을 통해 자궁경부암을 70% 정도 예방할 수 있는 셈입니다.

 

그러나 최근 임상시험 결과에 의하며 전체 자궁경부암에 대해 더 높은 예방효과가 보고되는데 서바릭스의 경우 HPV 유형에 상관없이 모든 자궁경부암(CIN 3이상)에 대한 예방효과가 93%로 나타나 향후 더 많은 자궁경부암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통상 15~25세 여성이 접종했을 경우에는 20년 동안 예방효과가 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고 알려집니다.

 

3) 성경험 후 맞으면 효과 없다? (X)

HPV는 성경험이 아닌 자연 감염으로도 면역이 잘 형성되지 않아 한번 감염됐더라도 같은 유형의 바이러스에 지속적으로 재감염 될 수 있으며 주요 발암성 HPV 유형에 대해 높고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면역반응을 얻기 위해서는 예방접종이 필요하다는 전문가의 주장입니다. 즉, 백신을 통해 같은 유형의 HPV 재감염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은 물론, 기타 일부 다른 유형의 HPV에 대한 부분적 교차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4) 자궁경부암 백신은 안전하지 않다? (X)

최근 일본에서 자궁경부암 예방백신에 대한 안전성 문제가 이슈화되면서 자궁경부암 백신을 맞아야 할지 고민하는 젊은 여성이 늘고 있다고 알려집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은 현재까지 1억 7500만 접종분에 달하는 분량이 사용되고 있을 정도로 세계적으로 이미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세계 40여 개국에서는 자궁경부암 백신을 국가 예방접종사업으로 시행하고 있고 올해 6월에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의 안전성에 대해 공식 발표하기도 했다고 알려집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으로는 통증, 발적, 부종, 두통, 근육통, 피로 등의 주사 부위 반응으로, 대부분은 경미한 수준이며 장기적으로 지속되지 않았고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08년 이후 국내에서 확인된 자궁경부암 백신 이상반응 보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일시 마비, 운동장애, 떨림 증상, 목 경직 등 과다긴장 등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른 백신 접종 시에도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이라는 것입니다.



 
 
top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