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contents

자연과 삶 (Nature & Life) :: 수은(Hg)

수은(Hg)

건강식품/중금속 2012. 12. 18. 11:54
 

 

독성 미네랄로 일본에서 1950년대에 미나마타병으로 잘 알려집니다.

 

온도계에 사용되는 물질로 물보다 응집성이 훨씬 강하고 실온에서 액체지만 기화되기 쉬우며 공기중에서 수은증기 형태로 존재하며 사람에게 흡입되기 쉽습니다. 이러한 무기수은은 대기중에서 산화되어 수용성 유기수은 이온이 되고 빗물이 되어 육지와 바다로 흘러 들어가게 됩니다.

 

한편 공장폐수가 하천과 바다로 버려진 무기수은도 바다로 유입되어 미생물에 의하여 메틸화되어 메틸수은이 되고 먹이사슬에 의하여 소형 어류, 대형 어류로 점차 올라가면서 메틸 수은이 축적이 된다고 알려집니다.

 

1. 무기수은 : 수용성이며 주로 간장과 신장에 축적이 된다고 알려집니다.

 

2. 유기수은 : 공기중에서 산화된 수은으로 폐를 통하여 완전히 흡수되며 세포막을 통과하기 쉬워 중추신경계로 쉽게 들어가므로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준다고 알려집니다.

 

3. 메틸수은 : 인체의 장기에 흡수가 잘 되지는 않지만 지용성으로 세포막을 통과하여 장관에서 흡수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며 최근 연구에 의하면 화학적 구조가 해독과 항산화에 관여하는 메치오닌의 화학적 구조와 유사해 메치오닌이 뇌로 들어가는 통로를 따라 들어가 뇌에 영향을 주어 뇌 신경과 태아에도 지대한 영향을 준다고 알려집니다.

 

다 쓴 형광등이나 치과에서 사용하는 아말감에 함유된 유기 수은 외에도 비교적 먹이사슬의 최상위에 위치하는 인간으로서는 대형 어류인 참치 등의 섭취로 메틸 수은이 축적이 용이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

 

수은의 과잉에 의한 증상이나 중독현상은 최근 유기 수은과 메틸 수은에 관련이 많으며 만성피로, 어지러움, 우울증, 불안, 초조, 불면증, 식욕부진, 기억장애, 시각장애, 언어장애 등을 들 수 있으며 잇몸염증이나 극심한 감정변화를 초래하고 심지어는 고혈압이나 관절염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보고됩니다. 또한 이러한 증상은 개인에 따라서 그 민감도가 매우 차이가 나므로 극소량이라도 안전한 양이라 말할 수 없을 것입니다.

 

수은에 오염원은 대표적으로 공장폐수나 살충제, 치과용 아말감, 형광등, 오염된 물에서 자란 생선, 백신의 방부제 같은 일부의약품이나 이를 다루는 직업 환경 등을 들 수 있으며 수은 배설을 촉진하여 수은 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셀레늄 같은 미네랄과 황함유 아미노산, 비타민 C, 비타민A, 비타민E 등을 항상 적정량 섭취하여 한다고 알려집니다.

 

'건강식품 > 중금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납(Pb)  (0) 2013.01.12
알루미늄(Al)  (0) 2012.12.27
중금속이란?  (0) 2012.12.15
 
 
top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