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근래에 보도된 매우 흥미로운 사실입니다. 과학자들이 암 치료에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발겼했음에도 불구하고 제약업계는 도대체 관심이 없다는 것입니다. 왜 그럴까요?
아래 원문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번역이 원문과 상이하거나 매끄럽지 못한 부분은 댓글로 남겨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www.sott.net/article/228583-Scientists-cure-cancer-but-no-one-takes-notice#channel=f38631f546f52c4&origin=http%3A%2F%2Fwww.sott.net&channel_path=%2Ffb%2Fen%2Fchannel.php%3Ffb_xd_fragment%23xd_sig%3Df3c93f4cea3a274%26
아래 그림에서 DCA의 작용기전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
What makes cancer cells different - and how to kill them
무엇이 암세포를 다르게 만드는지요 - 그리고 그들을 죽이는 방법
양성 종양 성장의 중앙에 정상세포들(파란색)는 산소의 결핍으로 굶어죽습니다. 그러나 당분해 스위치를 가동하는 것으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 이것은 에너지를 만드는 다른 방법입니다. 세포자멸사 메카니즘을 포함하는 미토콘드리아의 대사과정에서 스위치가 커지면 이것은 세포들이 "죽지 않고" 암에 걸리게 되고(빨간색) 따라서 그들은 복제를 수행하고 종양은 성장하게 됩니다.
당분해는 또한 젖산을 생성하는데 이는 암세들이 조직을 잠식하고 달아나 인체의 어딘가에 2차 암을 형성하게 됩니다.
DCA라 불리는 약은 암세포들의 미토콘드리아의 스위치를 다시 켜고(파란색) 그러므로 그들은 당분해를 멈추고 미토콘드리아에서 다시 에너지를 만들게 됩니다. 이 자기사멸사 메카니즘이 그때 재가동되며 세포들은 말라 죽게됩니다(갈색).
----------------------------------------------------------------------------------------------
'암치료법 > + DCA 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와버그 효과(Warburg effect) (0) | 2013.08.03 |
---|---|
DCA와 그 이후? (0) | 2013.08.01 |
과학자들은 암을 치료하였지만 누구도 관심을 갖지 않는다?(1) (0) | 201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