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솜 캡슐(liposome capsule)은 1961년 영국의 혈액 전문의인 Bangham에 의해 처음으로 제안된 오늘날 약물전달시스템(Drug Delivery System; DDS)의 한 방법입니다. 리포솜 캡슐은 2중의 지질막으로 구성되며 내부는 친수성(hydrophilic) 공간으로 비타민 C 등의 수용성 물질이나 약물을 포함할 수 있고 외부는 친유성(hydrophobic) 공간으로 인체 세포막의 지질 성분과 유사한 합성 인지질(인공 막)을 사용하여 세포막의 투과율을 증대시켜 세포내로의 수용성 물질의 흡수 이동을 극대화시킨 구조입니다.
참고로 동식물의 세포막도 인지질과 당지질로 구성된 2중 지질막 구조로 표면 또는 내부에 단백질이 박혀있으며 세포막을 구성하는 지질 중에는 인지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리포솜은 이러한 동식물의 세포막과 매우 유사한 성분과 구조를 가지게 된다고 알려집니다.
리포솜 캡슐의 재료로는 레시틴(Lecithin) 등의 인지질이 가장 많이 사용되며 조제법과 재료에 따라 직경 50nm~10μm의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특정 온도와 산도(pH)에서 캡슐화한 약제를 방출할 수 있는 온도 민감성 리포솜과 pH 감수성 리포솜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리포솜 캡슐을 이용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이유는 크게 다음과 같습니다.
1) 캡슐안의 비타민 C와 같은 영양소나 약물을 혈류로 거의 완벽하게 흡수시키기 위함입니다.
2) 독특한 약물전달시스템으로 인하여 장 운동이 필요없으며 따라서 장내 부작용이 없습니다.
또한 DNA를 비롯한 많은 약물들이 그 자체만으로는 체내에 투여해도 표적세포 내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들이 많은데 리포솜 캡슐은 이러한 약물이나 DNA를 내부에 캡슐화시켜 정전기적으로 결합된 형태로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로 약물을 전달할 수 있게 됩니다.
리포솜 캡슐을 이용하여 약물전달에 활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물질로는 항암제, 항균제, 항원, 항체, Cytokines, 단백, 지방, DNA 및 RNA, 조영제, Radiosensitiser(IUdR), 비타민 등이 있으며, Doxorubicin, Methotrexate, Cytarabine, Daunoruicin, Vincristine, Cisplatin, Taxol 등의 항암제를 함유한 리포솜 제제들이 개발되고 있다고 알려집니다.
'암치료법 > + 리포솜 비타민C 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근의 리포솜 비타민 C 제조법 (0) | 2013.07.05 |
---|---|
가정에서 리포솜 비타민 C 만드는 법 (2) | 2013.07.04 |
Navarro Cancer Test란? (0) | 2013.06.28 |
리포솜 비타민C 제조방법(4) (0) | 2013.06.25 |
리포솜 비타민C 제조방법(3) (0) | 2013.06.25 |
리포솜 비타민C 제조방법(2) (0) | 2013.06.20 |
리포솜 비타민C 제조방법(1) (0) | 2013.06.18 |
혈중농도 - IVC vs. Liposom VC (1) | 2013.06.17 |
리포솜 비타민C - (주)메디퓨처 (0) | 2013.06.17 |
리포솜 비타민C란? (0) | 2013.06.14 |